GUI 비활성화 (CLI 모드로 부팅)sudo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sudo reboot GUI 활성화sudo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sudo reboot 명령어 입력 이후, 재부팅하면 GUI CLI 모드로 부팅 전환이 됩니다. Ubuntu 버전이나 설치 패키지에 따라서 적용이 되지 않거나 추가적인 명령어 입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GUI 비활성화 장점시스템 자원 절약 : GUI 동작 시, 시스템 리소스가 추가적으로 사용됩니다. GUI 환경이 필요 없는 경우, 리소스 절약을 위해 CLI 부팅으로 시스템 리소스 절약이 가능합니다.GUI 동작 선택 가능 : 필요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현재 사용자 세션에서 GU..
tar 압축 tar -cvf aaa.tar aaa tar 압축 풀기tar -xvf aaa.tar tar.gz 압축tar -zcvf aaa.tar.gz aaa tar.gz 압축 풀기tar -zxvf aaa.tar.gz tar 명령어란?리눅스 환경에서 개발을 하다 보면 tar, tar.gz 파일 압축을 풀어야 하는 경우나 압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때마다 tar 명령어 옵션을 구글에 검색하게 된다. 은근히 헷갈리는데, 언제쯤 외워질런지. 빠르게 명령어를 찾으러 온 개발자는 여기까지 읽을 일이 없을 것이지만, 간단한 추가 설명을 더 남긴다. tar 명령어 대표 옵션옵션기능-c묶기-v처리된 파일 로그 출력-f파일 이름 지정-x풀기-zgzip 압축 or gzip 압축 해제--help사용법 출력..
1. 개요우분투와 윈도우가 멀티 부팅이 되도록 셋팅된 컴퓨터로 작업 중,우분투 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우분투 파티션 크기를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1TB HDD에 500GB 정도를 우분투 16.04를 설치하여 사용하던 중 1TB HDD 전체를 우분투 파티션으로 조정을 하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설치된 OS는 SSD에 Windows 10 pro가 설치되어 있고, 1TB HDD에 500GB를 할당하여 Ubuntu 16.04 LTS가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VMware 같은 가상 머신에 설치한 우분투가 아닌PC에 직접 설치된 우분투 파티션 크기 변경입니다. 2. 준비 사항기존 설치된 우분투의 파티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우분투로의 부팅이 아닌 부팅 USB를 이용한 Live mode로..
1. 개요2020년 4월 말 우분투 20.04 LTS 버전이 나왔습니다.학부생부터 14.04와 16.04를 주력으로 사용하였는데, 어느새 20.04 버전이 나왔네요. 우분투 버전 업그래이드나, 새로 설치하고, 복구와 복원에 사용될 부팅 USB가 필요하게 되어윈도우 환경에서 우분투 부팅 USB를 만드는 것을 이번 포스팅의 목적으로 합니다. 저는 기존 사용하던 16.04 버전의 우분투의 파티션 조정이 필요하여이번 부팅 USB를 제작하였습니다. Windows 10 pro의 데스크톱 PC에서 작업이 이루어졌고,부팅 USB의 우분투 버전은 20.04입니다.추가적으로 필요한 준비물은 USB이고, 저는 16GB 용량의 USB를 사용하였습니다.USB는 포맷이 되니, 꼭 내용물을 백업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작업 PC..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