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이란?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해 주는 기술입니다. 주로 내부 네트워크(사설망)의 여러 기기들이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외부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집이나 사무실의 인터넷 공유기(라우터)가 바로 이 NAT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장비입니다. 공유기는 ISP로부터 받은 공인 IP 주소 하나를 가지고, 그 아래에 연결된 여러 기기(PC, 스마트폰 등)에는 사설 IP 주소를 할당한 후, 이들 기기가 인터넷과 통신할 때 주소를 변환시켜 줍니다. NAT 필요 이유현재 널리 사용되는 IP 주소 체계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입니다. IPv..
아파트 이사 이후 홈 네트워크 구성 후기입니다. 전문가들이 보기에는 아쉬운 점들이 많을 듯합니다. 가성비로 구성한 홈 네트워크 구성이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 구성하시려는 분들에게 참고가 되면 좋겠습니다. 왜 홈 네트워크 구성을??무선 네트워크이사 이후에 좁은 집에서 잡히는 와이파이만 2가지 종류, 그리고 2.4GHz, 5GHz 까지 나뉘어서 사용하였습니다. 화장실 갈 때, 방 이동시 와이파이를 다시 잡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다 보니 참으로 불편했습니다. 집에 사용 중이었던 WiFi는 KT 통신사 모뎀 WiFi와 아파트에 기본 설치된 무선 공유기의 WiFi입니다. 인터넷 요금제 변경KT 인터넷과 WiFi, TV를 묶어서 사용 중이었습니다. TV는 거의 시청하지 않아서 필요가 없는 상황이었고, WiFi도 집..
홈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ipTIME Ring-mini2 무선 확장기를 구입하였습니다. 제품 선택 이유와 이지메시 구성으로 1년간 사용 후기입니다.Ring-mini2 선택 이유이사한 집에 홈 네트워크 구축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T5008SE와 Ring-mini2를 사용하여 이지메시(Easy Mesh)로 묶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는데, 그중에 무선 확장기로 Ring-mini2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지메시(EasyMesh) 지원T5008SE와 함께 이지메시로 연동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ipTIME의 Ring-mini 시리즈를 선택하였습니다. 이지메시 설정을 하게 되면 T5008SE에 유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와 Ring-mini2에 무선 WiFi로 연결된 네트워크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놓이게 ..
홈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T5008SE 유선 공유기 모델을 구입하고, 1년 이상 사용하였습니다. 제품 선택 이유와 사용 후기입니다. T5008SE 모델 선택 이유T5008 모델 단종본래 유선 공유기 구매를 위해서 찾아보던 모델은 T5008 모델입니다. 2024년 초에 홈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 공유기 모델 서치 중에 T5008 모델을 인터넷으로 구매하려 하였는데, T5008 모델이 단종되었고 T5008 모델이 신제품으로 출시되었습니다. T5008 모델 제고 제품이나 중고 제품을 구매할까 하였는데, 같은 가격에 H/W 성능 향상과 추후 있을 펌웨어 지원까지 생각해서 T5008SE 모델을 선택하였습니다. 메모리 용량 이 T5008 128MB 에서 T5008SE 256MB로 향상되었습니다. 이지메시(Eas..
GUI 비활성화 (CLI 모드로 부팅)sudo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sudo reboot GUI 활성화sudo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sudo reboot 명령어 입력 이후, 재부팅하면 GUI CLI 모드로 부팅 전환이 됩니다. Ubuntu 버전이나 설치 패키지에 따라서 적용이 되지 않거나 추가적인 명령어 입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GUI 비활성화 장점시스템 자원 절약 : GUI 동작 시, 시스템 리소스가 추가적으로 사용됩니다. GUI 환경이 필요 없는 경우, 리소스 절약을 위해 CLI 부팅으로 시스템 리소스 절약이 가능합니다.GUI 동작 선택 가능 : 필요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현재 사용자 세션에서 GU..
tar 압축 tar -cvf aaa.tar aaa tar 압축 풀기tar -xvf aaa.tar tar.gz 압축tar -zcvf aaa.tar.gz aaa tar.gz 압축 풀기tar -zxvf aaa.tar.gz tar 명령어란?리눅스 환경에서 개발을 하다 보면 tar, tar.gz 파일 압축을 풀어야 하는 경우나 압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때마다 tar 명령어 옵션을 구글에 검색하게 된다. 은근히 헷갈리는데, 언제쯤 외워질런지. 빠르게 명령어를 찾으러 온 개발자는 여기까지 읽을 일이 없을 것이지만, 간단한 추가 설명을 더 남긴다. tar 명령어 대표 옵션옵션기능-c묶기-v처리된 파일 로그 출력-f파일 이름 지정-x풀기-zgzip 압축 or gzip 압축 해제--help사용법 출력..
MobaXterm 이란?Mobaxterm은 강력한 기능과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개발자에게 사랑받는 터미널 에뮬레이터입니다. SSH, Telnet, VNC, FTP, SFTP, Serial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MobaXterm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만능 툴킷입니다. MoabXterm 추천 이유다양한 프로토콜 지원: SSH, Telnet, RDP, VNC, FTP, SFTP, X11 등 다양한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여러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MobaXterm 하나로 대부분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X 서버 내장: 별도의 X 서버 설치 없이 리눅스 GUI 애플리케이션을 윈도우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탭 인터페이스: 여러 세션을 탭으로 관리하여 편리하게 전환하며 작업할..
1. 개요 프로젝트를 공유하거나 저장하고, 버전을 컨트롤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단중 하나는 깃이 아닐까 합니다. 지금까지 작업PC 하나를 이용하여 코딩 중에, 노트북을 하나 구매하여 집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미루고 미뤄왔던 깃허브 사용을 시작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Windows 10에 Git을 설치하는 방법을 다룰 것입니다. 저는 추후에 Android Studio와 Git을 연동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깃을 설치하며, 설치 방법은 아주 간단하니 어렵지 않게 깃을 설치할 수 있으실 것입니다. 작업 OS는 Windows 10 pro이며, 설치하는 깃의 버전은 2.27.0 버전이며, 릴리즈 날짜는 2020-06-01입니다. 2. Gi..
1. 개요우분투와 윈도우가 멀티 부팅이 되도록 셋팅된 컴퓨터로 작업 중,우분투 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우분투 파티션 크기를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1TB HDD에 500GB 정도를 우분투 16.04를 설치하여 사용하던 중 1TB HDD 전체를 우분투 파티션으로 조정을 하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설치된 OS는 SSD에 Windows 10 pro가 설치되어 있고, 1TB HDD에 500GB를 할당하여 Ubuntu 16.04 LTS가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VMware 같은 가상 머신에 설치한 우분투가 아닌PC에 직접 설치된 우분투 파티션 크기 변경입니다. 2. 준비 사항기존 설치된 우분투의 파티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우분투로의 부팅이 아닌 부팅 USB를 이용한 Live mode로..
1. 개요2020년 4월 말 우분투 20.04 LTS 버전이 나왔습니다.학부생부터 14.04와 16.04를 주력으로 사용하였는데, 어느새 20.04 버전이 나왔네요. 우분투 버전 업그래이드나, 새로 설치하고, 복구와 복원에 사용될 부팅 USB가 필요하게 되어윈도우 환경에서 우분투 부팅 USB를 만드는 것을 이번 포스팅의 목적으로 합니다. 저는 기존 사용하던 16.04 버전의 우분투의 파티션 조정이 필요하여이번 부팅 USB를 제작하였습니다. Windows 10 pro의 데스크톱 PC에서 작업이 이루어졌고,부팅 USB의 우분투 버전은 20.04입니다.추가적으로 필요한 준비물은 USB이고, 저는 16GB 용량의 USB를 사용하였습니다.USB는 포맷이 되니, 꼭 내용물을 백업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작업 PC..